본문 바로가기
건축/건축이야기

필로티 구조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by kiell 2023. 2. 21.

 


 

필로티 구조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건축 이야기를 다루는 키엘입니다.

빌라가 많은 지역이나 주택이 많은 지역을 지나가다 보면 한번쯤은 필로티 구조로 된 주택을 보셨을겁니다.

보통 다가구 주택, 다세대 주택에서 많이 이용하는 구조인데요

오늘은 필로티 구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필로티 구조가 무엇인가요?

 

흔히 볼수 있는 필로티 구조(출처 : 네이버 이미지)

 

필로티란 단어는 프랑스어로 토목공사에서 건축물을 지지하는 기초 말뚝 또는 기둥을 뜻합니다.

오늘 날에는 위에 사진처럼 2층 이상의 건물에서 건물 전체, 또는 일부를 외벽 없이

기둥만으로 떠받치고 지상층을 개방한 형태를 말하죠.

 

필로티 건축 양식은 모든 건축학도라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현대 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 가 제창한 '새로운 건축의 5원칙' 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새로운 건축의 5원칙'인 필로티, 옥상 정원, 자유로운 평면, 가로로 긴 창, 자유로운 입면

5가지 요소를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주택 건축에 적용하였는데, 르 코르뷔지에에 대해서는 후에

포스팅 할 계획이므로 넘어가겠습니다.

 

5원칙중 하나인 필로티가 현재 오늘날의 흔히 볼수 있는 우리나라의 주택 양식이 되었죠.

 

필로티 구조에서 빈 공간은 아이들이 비가 올때 놀수도 있는 공간이 될수도 있고, 주차 공간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앞뜰과 뒤뜰을 하나로 연계시키고 빛과 공기가 건물 아래로 흐르도록 하였죠.

 

 


 

필로티 구조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

 

 

필로티 구조의 장점은 좁은 공간에 오밀조밀 붙어있는 건물들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주차 공간이 부족할 때가 많은데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요즘 아파트들은 지하 주차장, 지상 주차장등 주차할 곳이 나름 확보되어 있지만 주택,빌라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항상 주차난에 시달리고 있죠. 필로티 구조가 주차 공간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 빌라가 많은 지역에 가면 수풀, 담으로 1층의 사생활 보호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필로티 구조의 주택은 2층부터 있어 사생활 보호에도 도움이 됩니다.

요즘 문제가 되는 층간 소음도 2층에 살면 문제가 없습니다.

 

필로티 구조의 건물은 1층은 용적률에서 제외됩니다. 즉 3층 높이의 건물을 지을 수 있다고 하면 

필로티 구조의 경우 1층은 제외해서 4층 높이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것이죠.

 

 


 

필로티 구조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포항 5.4 규모의 지진때 무너져버린 필로티 구조의 주택(출처 : 네이버)

 

필로티 구조의 대표적인 단점은 지진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도 말했듯이 내진 설계가 중요하다고 많이 강조드렸는데 우리나라의 필로티 구조는

지진에 매우매우 취약한 상황입니다.

 

1. 연결형 구조

 

위에 1번 연결형 구조는 기둥을 1층부터 건물의 최상부 까지 이어지도록 설치한 구조입니다.

 

2. 분리형 구조

 

위에 2번 그림은 1층에만 기둥을 설치한 후 그 위에 건물을 얹는 방식인 분리형 구조인데

1번인 연결형 구조는 기둥이 건물 전체와 연결되어 지진에 비교적으로 안전하지만

2번 그림인 분리형 구조는 지진이 발생했을때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 대다수 건물들이 2번 분리형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앞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2017년부터 2층 이상 건물에 대해 내진설계를 의무화 하였으나

기존 건물들에는 적용 되지 않아 아직도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또 다른 단점은 난방입니다.

요즘 난방비가 많이 나와서 말이 많은데 필로티 구조의 특성상 아래 층이 없기 때문에

다른 층보다 2층의 난방비가 더 많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지막 단점은 화재입니다.

 

필로티 구조는 건수 대비 인명피해가 가장 큰 화재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2017년 12월경 29명 사망자를 낸 충북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였죠.

 

필로티 구조의 특성상 1층 천장과 천장 마감재 사이의 단열재, 수도배관 열선, 전선 등이

합선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에 말씀드렸듯이 1층을 주차공간으로 활용 하는데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필로티 구조의 특성상 사방이 뚫려있기 때문에 화재가 빠르게 번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1층이 피난층이 되어야 하는데 피난층인 1층부터 화재가 시작되어

마땅히 대피할 공간이 없는것이죠.

 

 


 

글을 정리하며.. 요약을 해드리면

 

'필로티 구조의 장점'

 

1) 주차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2)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3) 필로티 공간의 용적률이 제외되어 높게 지을 수 있다.

4) 요즘 문제가 되는 층간 소음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필로티 구조의 단점'

 

1) 지진에 매우매우 취약하다.

2) 2층에 사는 경우 난방비가 많이 나올 수 있다.

3) 화재에도 매우매우 취약하다.

 

 

우리나라의 특성상 필로티 구조로 계속 건물이 지어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진 설계를 의무화 하고, 내진 설계를 강화하도록 하는 법적 기준이 빨리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비용이 저렴하다고 가연성 플라스틱 천장재를 쓰는게 아닌 준불연 이상 자재를 사용해야겠죠?

 

2019년 건축법이 개정되면서 3층 이상의 건축물은 준불연 이상 자재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법이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금속 천장재를 설치하기 시작했는데 문제는 그 전에 지어진 건물들이죠.

가격이 저렴한 천장재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진보다 더 자주 발생하는게 화재입니다.

집안에 소화기를 필수적으로 비치하고 사용법을 미리 알아두시는게 도움이 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